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13)
교육 (13)
NEIS (6)
Edufine (0)
Programmer (5)
Android Programming (1)
Internet W3 (18)
JAVA Programming (9)
JSP/Servlet (1)
Framework (7)
Spring For Beginner (4)
eGovFrame (10)
MEAN Stack (2)
NodeJS (5)
SublimeText (30)
SublimeText_Tips (18)
Eclipse (16)
JavaScript (8)
jQuery (12)
jQuery_tips (1)
Ajax (3)
DWR(Direct Web Remote) (4)
JSON(JS Object Notation) (4)
Oracle (2)
MySQL (28)
OS (16)
Download (3)
Life (10)
Favorit Site (1)
Books (2)
Healthy (1)
Stocks (1)
HTML5/CSS (1)
Python (4)
Security (7)
CISSP (0)
Ruby On Rails (5)
일기장 (0)
영어 교과서(중2) (3)
알고리즘 (0)
Go Lang (3)
VB 2010 (12)
C# (1)
정보보안기사(네트워크보안) (0)
업무 활용 엑셀 (11)
틈틈이 활용팁 (14)
하루 하루 살아가며 ……. (2)
기술 (1)
파이썬 & 데이터분석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9. 4. 12. 06:53

5G(IMT-2020)의 정의

- 기존 4G LTE(LTE-Advanced) 시스템 대비 20배 빠른 전송속도 및 10배 많은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수용하고, Real 3D 입체 영상 서비스 기술 구현을 목표로 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 특징: 초고속통신, 초연결통신, 초저지연, NFV

 

LTE(Long Term Eveolution)

4G 이동통신 기술을 말한다.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다. Long Term Evolution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오랫동안 진화한 것’인데, 장기간에 걸쳐 기존 시스템을 발전시킨 기술이라는 뜻이다. LTE가 3세대 이동통신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속도에 있다. LTE는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60킬로미터 이상 고속 이동시에는 100M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데, 이는 시속 120킬로미터로 달리는 자동차에서 700메가바이트짜리 영화를 3분 만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속도다.1)

[네이버 지식백과] LTE [Long Term Evolution] (트렌드 지식사전 2, 2014. 5. 23., 인물과사상사)

여기서 bps 는 bit per second 이다. 따라서 100Mbps와 100MBps(Bytes per seconds)는 구분이 필요하다.

 

LTE 표준은 100Mbps의 하향링크 최고 속도, 50Mbps의 상향링크 최고 속도, 10ms 이하의 RAN(Radio access network) round-trip time을 제공한다. 또한 반송파 대역폭을 1.4MHz에서 20MHz까지 조정이 가능하며, TDD와 FDD를 이용한 전이중통신을 지원한다.

LTE 표준의 일부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이라고 불리며, 이는 GPRS 코어 네트워크를 대체하고 과거의 시스템이나 GPRS, WiMAX와 같은 비-3GPP 시스템 사이에서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플랫 IP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2] [3]

LTE의 주요 이점은 높은 처리량, 낮은 지연 시간, 플러그 앤 플레이, 같은 플랫폼에서 FDD와 TDD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향상된 end-user experience, 단순한 아키텍처, 그로 인한 낮은 운영비이다. LTE는 또한 GSMcdmaOne, UMTS, CDMA2000와 같은 구형 네트워크 기지국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한다. LTE의 다음 단계는 LTE 어드밴스드(LTE Advanced)이며, 현재 3GPP Release 10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GSM(영어: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전에는 프랑스어: Groupe Spécial Mobile)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으로 TDMA 기반의 통신 기술이다. GSM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700여 회원사가 가입되어 있는 GSM 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이동통신의 약 80%가 GSM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고, 가입자수는 약 34억명 이상이다.[1] 대한민국에서는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CDMAWCDMA, PCS를 사용하고 있어, GSM 방식의 휴대전화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많은 이동 통신 제조 업체들이 수출용으로 GSM 방식의 단말기를 개발하고 있다.

 

KT O-RAN(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KT는 개방형 5G네트워크 표준인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얼라이언스’ 표준을 도입한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O-RAN 얼라이언스에는 KT를 비롯해 NTT도코모, 삼성전자 등 26개 기업이 참여한다.

O-RAN 규격은 서로 다른 기지국 제조사에서 만든 디지털 장비(O-DU)와 라디오 장비(O-RU) 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규격을 제공한다.

 

SKT 5G-PON [ G-Passive Optical Network ]

안테나, 중계기 등 건물 단위 기지국(RU)과 동 단위 통합기지국(DU)을 연결하는 유선 전송망(프런트홀) 구간에 적용되는 솔루션으로 5G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기존 유선 전송망 장비는 전력 공급을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 반면, '5G-PON'은 전원 없이 작동해 실외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5G-PON' 솔루션을 적용하면 도서·산간 지역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초고속인터넷, 3G, LTE 등 새로운 망을 구축할 때마다 기존 프런트홀망에서 별도의 전용 유선망을 구축해야 했지만 '5G-PON' 솔루션을 적용하면 전송망 하나로 LTE와 초고속인터넷은 물론 5G까지 서비스할 수 있어 5G 상용화시 별도의 유선망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5G-PON [G-Passive Optical Network] (한경 경제용어사전)

 

Back Haul

코어시스템에서 DU(Data Unit)까지 전송망

 

Front Haul

프런트홀은 중앙 통합기지국(DU, 데이터 부문, Data Unit), 고객 접점 무선 부문(RU, Radio Unit), 중계기를 연결하는 유선 전송망이다.

 

RAN(Radio Access Network, 무선접속망)

이동 장치인터넷 고속 접속을 포함하여 3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의 제공에 필요한 지상의 인프라. 기지국(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s)과 무선망 제어부(RNC)로 구성되어 있고, 공중전화 교환망과 인터넷에 대한 접속, 로밍, 투명한 연결, 그리고 데이터 및 웹 연결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관리를 포함하여 3세대 이동 통신 이용자들을 위한 광범위한 작업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선 접속망 [Radio Access Network, 無線接續網]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차세대 무선접속망)

이동 통신 사실 표준화 기구 3GPP에서 제정한 5세대 이동 통신 NR(New Radio) 기술 기반의 무선 접속망

 

NG-RAN은 5G NR은 물론 기존 LTE 무선 접속을 모두 수용하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어, 5G NR 기지국(gNodeB) 및 LTE E-UTRA 기지국(eNodeB)으로 구성된다.

5G 이동 통신 시스템(5GS: 5G System)은 크게 5G 무선 접속망 NG-RAN과 5G 핵심망(5GC: 5G Core network)으로 구성되고, NG-RAN은 5G NR(New Radio), 단말기, 기지국(eNodeBgNodeB)로 구성된다. 기지국 간에는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기지국과 5G 핵심망(5GC)은 NG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NG-RAN에서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1) 5G 기지국 gNodeB만으로 구성된 형태
(2) LTE 기지국 eNodeB만으로 구성된 형태
(3) gNodeBeNodeB(보조)로 혼합된 형태로, gNodeB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평면(control plane) 데이터를 모두 처리하고, eNodeB는 보조적으로 사용자 평면만 처리한다.
(4) eNodeBgNodeB(보조)로 혼합된 형태로, eNodeB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을 모두 처리하고, gNodeB는 보조적으로 사용자 평면만 처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차세대 무선 접속망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次世代無線接續網]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eNodeB(eNB, evolved Node B, E-UTRAN Node B, LTE(Long Term Eveolution) 이동통신 기지국)

- 이동 통신 사실 표준화 기구 3GPP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

3GPP는 기존 3세대(3G) 이동 통신 기지국의 이름 ‘Node B’와 구별하여

LTE의 무선 접속망 E-UTRAN(Evolved UTRAN) 기지국을 ‘E-UTRAN Node B’ 또는 ‘evolved Node B’라 하였다.

주로 줄임말 eNodeB(eNB)로 사용한다.

 

eNodeB 기지국은 단말(UE: User Equipment)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핵심망(EPC: Evolved Packet Core)과의 통신 중계 역할을 한다.

 

기존 3G 이동 통신의 무선 접속망 UTRAN(UMTS: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기지국(Node B)은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와 분리된 구조였던 반면에 LTE 이동 통신의 E-UTRAN에서는 별도의 기지국 제어기 없이 eNodeB가 직접 핵심망에 연결되는 평면 구조이다. 즉, eNodeB는 기존 3G 망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노드비 [evolved Node B, E-UTRAN Node B]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gNodeB(next Generation Node B)

이동 통신 사실 표준화 기구 3GPP에서 제정한 5세대 이동 통신 NR(New Radio) 기지국

3GPP에서 기존 4세대(4G) 이동 통신의 LTE 기지국의 이름 이노드비(eNodB)와 구별하여 5G NR(New Radio) 기지국을 ‘다음 세대(next generation)’의 알파벳 ‘g’를 인용하여 gNodeB로 정하였다.

5G 무선 접속망 NG-RAN(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은 다수의 gNodeB들로 연결 구성되며, 기존의 eNodeB도 포함될 수 있다.

gNodeBNR 무선 프로토콜(radio protocol)을 통해 사용자 평면(User Plane)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 데이터를 단말(UE: User Equipment)과 주고받고, 5G 핵심망(5GC: 5G Core Network)에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gNodeB 기지국 간에는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gNodeBNR 무선 프로토콜(radio protocol)을 통해 사용자 평면(User Plane)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 데이터를 단말(UE: User Equipment)과 주고받고, 5G 핵심망(5GC: 5G Core Network)에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gNodeB 기지국 간에는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시스템

3G

LTE, LTE-A

5G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EPS

5GS

무선 인터페이스

UTRA

E-UTRA

NR

무선 접속망

UTRAN

E-UTRAN

NG-RAN

기지국

Node B

eNodeB

gNodeB

[네이버 지식백과] 지노드비 [next generation Node B]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진화된 범용 이동식 통신 시스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접속기술)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PC(Evolved Packet Core, 진화된 패킷 핵심망)

엘티이(LTE) 이동 통신핵심망. 국제 표준화 단체 3GPP에서 정의한 공식 명칭이다.
EPC는 무선 접속망인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패킷 데이터 망(PDN: Packet Data Network)을 연결하며 사용자의 음성 및 데이터 패킷 처리 및 전송, 이동성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은 단말에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과 단말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른 망과의 상호 연결 등을 제공하는 핵심망(CN: Core Network)으로 구성된다.
3GPPLTE 망의 RAN 이름을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망(E-UTRAN: Evolved UTRAN), E-UTRAN에 연결되는 핵심망(CN)을 진화된 패킷 핵심망(EPC: Evolved Packet Core), E-UTRANEPC를 합친 전체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이라 명명하였다.
EPC는 크게 3개의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 패킷 데이터 망 게이트웨이(P-GW: PDN 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제어 평면(CP: Control Plane)을 처리하고, S-GWP-GW는 사용자 평면(UP: User Plane)을 처리한다.

3세대(3G) 이동 통신의 핵심망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LTE EPC는 패킷 핵심망(packet core network)만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3G 경우 서킷 핵심망(circuit core network)에서 음성 서비스를 처리하고 패킷 핵심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진화된 패킷 핵심망 [Evolved Packet Core, 進化-核心網]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망 제어부)

비동기 방식 국제 이동 통신-2000(IMT-2000) 시스템의 기지국에 대한 제어 기능을 하는 무선 접속망(RAN)의 구성 요소. IMT-2000 시스템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기능과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기지국에 대한 관리 및 무선망 제어부와 다른 망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선망 제어부 [Radio Network Controller, 無線網制御部]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

3GPP EPC망 내에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요소

 

SAE의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 NAS 관련 메시지 교환
  • 페이징(paging), Tracking Area list 관리, 핸드오버와 같은 단말의 이동성 관리
  • P-GW, S-GW의 선택
  • MME가 바뀌는 핸드오버 시 MME의 선택
  • 2G 또는 3G망으로의 핸드오버 시 SGSN의 선택
  • 인증 및 인가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SAE는 eNB, S-GW, HSS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연동하며, Diameter, S1-AP, GTP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SAE의 구조

SAE는 플랫, 올-IP 아키텍처로서, 컨트롤 플레인과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이 구분되어 있다.

SAE아키텍처의 주 구성 요소는 EPC(Evolved Packet Core), 즉 SAE 코어이다.

EPC의 하위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SGW (Serving Gateway)
  • PGW (PDN Gateway)
  • HSS (Home Subscriber Server)
  • ANDSF (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 ePDG (Evolved Packet Data Gateway)

MEC(Mobile Edge Computing, 모바일 엣지 컴퓨팅)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서버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는 사용자가 모바일 네트워크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언제든 접근할 수 있도록 안개 모양처럼 분산돼 퍼져 있다는 의미로, 포그(Fog) 컴퓨팅이라고도 불린다.

MEC가 적용되면 데이터 전송 시간이 비약적으로 단축되는 것은 물론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고속도로 주변 기지국이 MEC를 적용할 경우 중앙서버에 보내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교통 정보를 사용자 차량에 곧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부산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정보를 서울에서 처리하지 않고 근접한 지역에 설치된 서버에 저장해 신속하게 배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EC는 2020년 상용화될 예정인 5G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MEC가 5G에 적용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지국과 인접한 서버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초저지연을 달성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바일 엣지 컴퓨팅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www.netmanias.com

http://www.ktword.co.kr/word/abbr_view.php?m_temp1=257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