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13)
교육 (13)
NEIS (6)
Edufine (0)
Programmer (5)
Android Programming (1)
Internet W3 (18)
JAVA Programming (9)
JSP/Servlet (1)
Framework (7)
Spring For Beginner (4)
eGovFrame (10)
MEAN Stack (2)
NodeJS (5)
SublimeText (30)
SublimeText_Tips (18)
Eclipse (16)
JavaScript (8)
jQuery (12)
jQuery_tips (1)
Ajax (3)
DWR(Direct Web Remote) (4)
JSON(JS Object Notation) (4)
Oracle (2)
MySQL (28)
OS (16)
Download (3)
Life (10)
Favorit Site (1)
Books (2)
Healthy (1)
Stocks (1)
HTML5/CSS (1)
Python (4)
Security (7)
CISSP (0)
Ruby On Rails (5)
일기장 (0)
영어 교과서(중2) (3)
알고리즘 (0)
Go Lang (3)
VB 2010 (12)
C# (1)
정보보안기사(네트워크보안) (0)
업무 활용 엑셀 (11)
틈틈이 활용팁 (14)
하루 하루 살아가며 ……. (2)
기술 (1)
파이썬 & 데이터분석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5. 7. 13. 09:09

Sublime Text 2에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Alignment 라고 해서 코드를 들여쓰기하고 정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어떤식으로 바뀌는지 아래 그림을 보시면 되며 아래그림과 같은 코드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꼭 우측으로 코드를 정리해놓은듯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실행전과 후를 참고하세요.

 

 

Aligment 소개

복수의 선택지역과 여러 줄을 손쉽게 정렬하도록 도와준다.

홈페이지 : Sublime Alignment
GitHub R : sublime_alignment

Aligment 특징

  • 공백(스페이스) 혹은 탭을 삽입하여 동일한 열에 복수의 선택을 맞춘다.
  • 여러 줄로 선택된 지역을 같은 들여 쓰기 수준으로 모든 줄을 맞춘다.
  • 동일한 열에 여러줄에 걸쳐 선택한 각 행의 첫번째 =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Aligment 설치

  1. 서브라임 텍스트를 실행한 후, 단축키 Ctrl+Shift+P 로 Command Palette를 불러온다.
  2. install을 입력하면 자동완성되는 Package Control: Install Package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른다.
  3. alig를 입력하여 Aligment가 검색되면 선택한 후, 엔터를 눌러 설치한다.

 

 

Aligment 사용법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Windows와 Linux에서는 Ctrl+Alt+A를, OS X에서는 Cmd+Ctrl+A로 정렬한다.

 

세팅 방법

바로 alignment 를 선택해서 설치하면 설치는 끝입니다. 위처럼 사용하려면 기본기능에 한가지를 더 추가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Sublime Text 2 메뉴에서 Preferences - Package Setings - Alignment - Settings - Default 를 선택해서 엽니다.

마우스가 선택된 부분 "alignment_chars" 부분을 아래그림처럼 해줍니다.

 

 

그럼 준비는 끝났습니다.

Aligment 의 단축키는 Ctrl+Shift+a 입니다.

원하는 부분을 블럭을 잡고 Ctrl+Shift+a 를 누르면 끝입니다.

코드가 변경이 되었습니다. Ctrl+Alt+a 를 누르세요

 

 

 

변경된 부분이 보이시나요?
가운데 분리자는 어떤걸 사용해도 되니 원하대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플러그인인 Alignment 는 http://wbond.net/sublime_packages/alignment , https://github.com/wbond/sublime_alignment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출처 : http://demun.tistory.com/2229 / http://webdir.tistory.com/4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