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13)
교육 (13)
NEIS (6)
Edufine (0)
Programmer (5)
Android Programming (1)
Internet W3 (18)
JAVA Programming (9)
JSP/Servlet (1)
Framework (7)
Spring For Beginner (4)
eGovFrame (10)
MEAN Stack (2)
NodeJS (5)
SublimeText (30)
SublimeText_Tips (18)
Eclipse (16)
JavaScript (8)
jQuery (12)
jQuery_tips (1)
Ajax (3)
DWR(Direct Web Remote) (4)
JSON(JS Object Notation) (4)
Oracle (2)
MySQL (28)
OS (16)
Download (3)
Life (10)
Favorit Site (1)
Books (2)
Healthy (1)
Stocks (1)
HTML5/CSS (1)
Python (4)
Security (7)
CISSP (0)
Ruby On Rails (5)
일기장 (0)
영어 교과서(중2) (3)
알고리즘 (0)
Go Lang (3)
VB 2010 (12)
C# (1)
정보보안기사(네트워크보안) (0)
업무 활용 엑셀 (11)
틈틈이 활용팁 (14)
하루 하루 살아가며 ……. (2)
기술 (1)
파이썬 & 데이터분석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5. 7. 17. 19:43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의 약자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와 URN(Uniform Resource Name) 을 포함합니다.

URI (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URI (Universal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다닌다. URI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흔히 웹 사이트 주소로 알고 있지만, URL은 웹 사이트 주소 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 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그 주소에 접속하려면 해당 URL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아야 하고, 그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접속해야 한다.

FTP 프로토콜인 경우에는 FTP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야 하고, HTTP인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한다. 텔넷의 경우에는 텔넷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접속해야 한다.

URL의 이름 구성

  • URL은 제일 앞에 자원(인터넷 주소)이 위치한 서버의 프로토콜을 적는다. gopher, telnet, ftp, http, usenet 등이다.
  • URL 다음에는 프로토콜과 주소를 구분하는 구분자를 적는다. ":" 가 이에 해당한다.
  • 만약 인증정보가 필요한 형태의 프로토콜이라면 구분자":" 다음에 "//"를 적는다.
  • 비록 접속시 인증정보가 필요 없는 공개된 서비스라고 해도, 프로토콜 자체가 "인증"이라는 개념을 제공하면 "//"를 넣어 주도록 한다.
    • 예1) http://www.somehost.com - 접속시 인증정보가 필요 없지만, http는 "인증"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 를 넣어 준다.
  • 구분자 다음에는 실제 주소를 넣는다. 본래는 숫자로 된 IP 주소이다. 211.111.111.111 같은 형태이다.
  • 그러나, 숫자를 외우는 것은 동서양에 관계 없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기 쉬운 영단어로 바꿔 사용한다. 이것이 도메인 주소이다. ko.wikipedia.org 같은 것이다.

URN (Uniform Resource Name)

URN(Uniform Resource Name)자원에 대하여 영속적 (persistent)이고 유일하다. 위치에 독립적인 이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iURN은 문자열 "urn" 혹은 "URN", NID (Namespace Identifier), 그리고 NSS (Namespace Specific String)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엘리먼트간에 콜론(:)을 위치시킨다. NID는 URN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차후 XMLgo.net에서 ebXML문서의 형태로 각 회사의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저장소를 URN으로 가리키고 , NSS 는 유일하고 영속적이여야 하며, 여기서는 registry1이라고 칭하였다.

좀더 현실적인 예를 들어 본다면

한국인을 위한 URN을 만들기 위하여 한국-시민 이라고 선언할 수 있다. NSS 로는 유일한 번호, 주민등록 번호를 표현하도록 한다면 000000-0000000 이 될 것이다.

'위키백과'에서 발춰

 
아래의 자세한 내용은
http://www.xmlgo.net/open_xml/namespace/uri-url-urn.html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URLs

URL은 실제의 네트웍 경로를 가리키며, 네트웍 상의 리소스 접근시에 사용된다 URL의 첫 번째 부분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명시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http이며, 가끔은 ftp 혹은 mailto이며, 드물게 gopher, news, telnet, file 등을 사용합니다. 이와 같은 URL 프로토콜 부분을 scheme이라고 한다. Scheme 뒤에는 콜론(:)이 따라오며 그 뒤에 식별된 자원의 경로가 나타난다. 다음의 예는 여러 분들이 매우 익숙할 것이다.

http://www.xmlgo.net/document/editor/editor.html 

이 URL은 www.xmlgo.net 이라는 이름의 인터넷 상에 있는 서버로부터 /document/editor/editor.html 이라는 파일을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경로(PATH)를 나타낸다. 파일 editor.html 은 /document/editor 이라는 디렉토리에 있으며, HTTP 프로토콜에 의하여 검색되야함을 명시한다. 또 다른 예로써 다음과 같은 전자메일 계정을 가리키는 URL도 있다.

 

mailto:someone@sungshin.ac.kr 

 

계속해서 다양한 프로토콜에 따른 예를 들어 본다면 ,

  • file -시스템내의 파일 이름 ( file:///C:\windows\xml\test.xml )

  • ftp - ( ftp://ftp.is.co.za/rfc/rfc2141.txt )

  • news - 유즈넷 뉴스 그룹 ( news:comp.xml.xsl )

  • telnet - telnet://www.xmlgo.net

물론 URL을 통하여 검색될 수 있는 자원에는 제한이 있다. 컴퓨터로부터 검색가능한 형태의 자원만 검색할 수 있다. 실제의 예를 든다면 , RDF (URI상의,리소스에 관해 기술하는 규칙) : http://www.w3.org/TR/REC-rdf-syntax# SVG (2차원 그래픽,벡터형태의 그래픽, 이미지, 텍스트를 포함,을 표현하는 XML 용어집): http://www.w3c.org/XSL/Format/1.0 등이 네임스페이스로 사용된다.

URNs

URN은 자원에 대하여 영속적 (persistent)이고 유일하다. 위치에 독립적인 이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이것은 RFC 2141 (http://www.ietf.org/rfc/rfc2141.txt) 에 정의되어 있다.

iURN은 문자열 "urn" 혹은 "URN", NID (Namespace Identifier), 그리고 NSS (Namespace Specific String)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엘리먼트간에 콜론(:)을 위치시킨다. NID는 URN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차후 XMLgo.net에서 ebXML문서의 형태로 각 회사의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저장소를 URN으로 가리키고 , NSS 는 유일하고 영속적이여야 하며, 여기서는 registry1이라고 칭하였다.

    urn:xmlgo:registry1
     

좀더 현실적인 예를 들어 본다면

한국인을 위한 URN을 만들기 위하여 한국-시민 이라고 선언할 수 있다. NSS 로는 유일한 번호, 주민등록 번호를 표현하도록 한다면 000000-0000000 이 될 것이다.

    urn:한국-시민:000000-0000000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Namespace를 지정할 때 URI 로 지정한다. URI로는 현재 널리 사용하는 웹주소, URL 방식과 URN 방식이 포함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URL을 많이 사용하나 URN도 널리 사용 될 것이다. URL에서는 도메인 주소와 거기에 위치한 물리적인 경로가 자원을 찾기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되지만, URN은 자원에 부여된 고유한 이름으로 그 자원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부여된 이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 인천 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인하대학교가 있지만, 인하대학교는 새로운 부지로 이사를 갈 수도 있을 것이다. 인하대학교가 어디에 있는지는 URL(주소)로 표현 할 수 있지만, 인하대학교가 다른 곳으로 가더라도 URN을 가지고 그 리소스(인하대학교)을 식별할 수 있다. 이사를 가고 나서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의 인하대학교’ 라는 기존의 주소를 가지고는 인하대학교를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인하대학교란 고유한 이름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출처]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3&eid=GHrWjAUqnZoZehcVhK4yhMlkPOrAsJXy&qb=VVJJ&enc=utf8&pid=fjcIpsoi5URssuarQuKsss--461329&sid=SaH6pDvZoUkAAGXfNJ4

 

 

 

[출처] http://blog.naver.com/w281004/100048714907

반응형